NFT, 성공하려면 팬덤이 필수다

6월 3주차 뉴스 큐레이션

2022.06.17

The Creator Economy |6.10~6.17

매주 금요일,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와 팬덤 비즈니스 업계 동향을 전합니다.


NFT와 팬덤의 상관관계

대체불가토큰(NFT) 사업이 성공하려면 NFT를 붙인 콘텐츠를 기꺼이 사줄 수 있는 강력한 팬덤이 있어야 합니다. 팬덤을 어떻게 만들고 유지시킬지 고민한다면 우리나라 같은 콘텐츠 강국에서 좋은 비즈니스 모델이 나올 것입니다. 
 

“NFT, 상징성·팬덤이 성공 필수조건” (서울경제)

 

최근 국내 게임사들이 다양하게 NFT 사업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전문가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김승주 교수는 성공의 조건으로 상징성과 역사성, 그리고 “강력한 팬덤”을 꼽았는데요.  크립토키티(CryptoKitties)를 예로 들며 팬덤을 구축한 뒤 이를 유지할 수 있어야 NFT의 가치를 지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주 뉴스 큐레이션에서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업계 동향과 더불어 NFT와 팬덤 비즈니스 관련 뉴스를 중점적으로 전해드릴게요.


NFT

 

“NFT, 상징성·팬덤이 성공 필수조건” |서울경제

  • “크립토키티도 게임 자체만으로는 큰 재미가 없었지만 ‘최초’라는 역사성이 부여되면서 콘텐츠에 힘이 생기고 팬덤이 구축됐다. 이런 팬덤을 한번 만든 뒤 유지할 수 있어야 NFT의 가치도 지킬 수 있다”

 

한물 간 줄 알았는데..NFT 키우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머니투데이

  •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MZ(밀레니얼+Z)세대를 겨냥, 창작 콘텐츠 기반 'C2E'(Create to Earn)를 강조하는 것이다. 기존 크리에이터들을 유입하거나 이용자가 직접 콘텐츠를 제작하는 적극적 참여 모델과 결합해 NFT 생태계를 활성화하려는 전략이다. 

 

MZ세대 잡아라…NFT 뛰어드는 패션·유통업계|이데일리

  •  “NFT는 MZ세대에게 해당 캐릭터와 브랜드의 온라인 팬클럽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2030세대와 소통하기 위해서 유통업계가 하반기에도 NFT 팝업, 디지털 전시 등을 활발히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Instagram Digital Collectibles for NFT Creators and Collectors |Small Business Trends

  • The Meta-owned company has begun testing a new digital collectible feature, with a select amount of creators and collectors in the United States able to share the NFTs that they have either created or bought on their Instagram posts and reels. 

 

Web3 is a myth, and that’s okay |VentureBeat

  • Fortunately, the best examples to study are already out there, living and breathing in the fandoms we love from Star Wars to Pokémon. These dynamic communities are connected to their many media nodes to keep the system thriving. To set out to build a fandom like this from scratch is a daunting task but like any great story the first step always comes from a genuine place. A place where the creator is also a fan of the world they are building.

 


FANDOM BUSINESS

 

신인 크리에이터들, IT 바람 타고 국내 문화 생태계에 새 물결 |뉴스핌

  • 비스테이지는 크리에이터의 주도권을 보장한다 점에서 차별화를 꾀했다. 콘텐츠 게시부터 팬덤, 수익 모델 등 모든 활동과 데이터에 대한 주도권을 크리에이터가 보유할 수 있다. 여러 플랫폼과 채널을 오가며 각각의 필요한 활동들을 별도 진행했던 기존 구조와 다르게, 크리에이터가 창작 활동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J그룹 "4대 성장엔진으로 미래 혁신 시동" | 스포츠한국

  • BTS 소속사 하이브 팬덤 플랫폼 ‘위버스’ 출신 구성원이 창업한 스타트업 ‘비마이프렌즈’에 총 224억원(24.2%)을 투자해 2대 주주로 올라섰다. CJ는 음악·영상·아티스트·DIA TV인플루언서 등 팬덤 비즈니스의 기반이 되는 IP와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비마이프렌즈는‘비스테이지(b.stage)’를 통해 독점 콘텐츠와 멤버십을 구축한다.

 

팬덤 미디어가 달라진다…'소통' 소비하는 팬 플랫폼 |뉴시스

  • 11일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광고연구소에 따르면 포털 사이트의 카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커뮤니티 사이트 갤러리 게시판 등 기존 팬이 모이던 곳들이 쇠퇴하고 팬들이 운영하던 자생적 무료 팬 커뮤니티가 산업자본이 만든 유료 기반 플랫폼에 흡수되고 있다. 

 

이노션, 광고업계 최초 '콘텐츠 보팅 플랫폼' 비즈니스 론칭|연합뉴스

  • 콘텐츠 보팅 플랫폼 비즈니스는 국내 예능 오디션 TV 프로그램과 연계해 시청자가 직접 응원이나 퀴즈 등에 모바일 앱을 통해 참여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오디션형 프로그램이 만들어내는 팬덤을 비즈니스화해 운영하는 것이다.
     

How fandom built the internet as we know it, with Kaitlyn Tiffany|The Verge

  • In fact, her bigger thesis is that fandom overall is a cultural and political force that can’t be ignored; it shapes elections, it drives cultural conversation, it can bring joy to people who feel lonely, and it can result in dramatic harassment campaigns when fans turn on someone.

 


CREATOR INDUSTRY

 

[퓨처ICT포럼] “’쇼츠’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확장” |파이낸셜뉴스

  • 유튜브 쇼츠는 최근 월간활성이용자수(MAU)가 15억명을 넘어가면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생태계를 확장시키고 있다. 연간 1만 달러(약 1286만원)이상 소득을 창출하는 전 세계 크리에이터 수도 전년대비 40% 증가했다.

 

“쉽게 만들고, 빨리 퍼뜨린다…강력한 마케팅 포인트”| 조선비즈

  • ”틱톡은 지난해 라이브 기능, 영상 내 상품 페이지로 연결하는 ‘프로덕트 링크’, 여러 상품을 하나의 영상에서 카드처럼 넘겨보고 제품 페이지로 연결할 수 있는 ‘컬렉션 애즈’ 등 이커머스 기능을 계속 선보였다. 아울러 틱톡 내에 홈페이지처럼 온라인 숍을 열어 매출을 올릴 수 있는 ‘틱톡숍’ 서비스도 시작했다. 지난해부터 인도네시아, 영국에서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했고, 올해 4월에는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으로 확대했다. 국내 틱톡숍 서비스 출시도 준비 중이다.”

 

“2년 새 급성장 릴스, 모기업 메타<옛 페이스북>의 차세대 먹거리로 부상” | 조선비즈

  • “동영상 기능을 릴스로 일원화하고, 크리에이터들을 위해 수익 창출이 가능한 보다 창의적인 도구를 구축하고, 더 많은 사용자가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릴스를 찾아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투자하고 있다. 최근 출시된 기능 중 일부를 소개하자면, 친구·팔로어가 보다 쉽게 릴스를 공동 작업할 수 있는 ‘리믹스(Remix)’와 ‘공동 작업자 초대(Collabs)’가 있다. 리믹스는 기존에 만든 자신의 릴스 혹은 공개 계정의 비디오를 이용해 릴스를 만드는 기능이고, 컬랩스는 두 사람이 게시물을 공동 작업할 수 있는 기능이다. 릴스의 사운드와 오디오를 보다 매력적으로 편집하기 위해 릴스에 오디오 코멘트를 더 할 수 있는 ‘보이스오버(Voiceover)’, 배경 음악에 해설을 추가할 수 있는 ‘믹스드 오디오(Mixed Audio)’도 내놓았다.”

 

Essential Tips for Creators to Reach Beyond Your Network and Build a Community |Talking Influence

  • For content creators, it is essential to have a strategy when it comes to expanding your reach, as well as retaining your current audience. In order to truly engage a committed audience, content creators may consider setting up a subscription for their content. 

 

How Gen Z and millennials are driving creator economy growth |Smart Brief

  • Some 64% of American Gen Z and millennial consumers “really enjoy and feel loyal to” creators and influencers, with 61% reporting they regularly buy products they’ve seen creators use or discuss on social media, according to a “Reaching the Unreachables” report from Whalar.

 


이번주 뉴스 큐레이션이 좋으셨다면, 함께 읽고 싶은 분에게 링크를 공유해주세요.

비마이프렌즈와 비스테이지의 다양한 소식은 아래 채널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nstagramFacebookLinkedinTwitterNewsroom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