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에이터, 스스로 플랫폼이 되다
7월 2주차 뉴스 큐레이션
The Creator Economy |7.8~7.14
매주 금요일,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와 팬덤 비즈니스 업계 동향을 전합니다.

“Be Your Own Platform.” 이 문장을 보며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크리에이터가 어떻게 스스로 플랫폼이 될 수 있는 걸까요? 이번 주 Inc. 매거진에는 이 문장을 가능하게 해주는 플랫폼 솔루션에 대한 이야기가 실렸습니다.(네, 비스테이지요!👀) 기사에서는 지금까지 크리에이터들이 대형 플랫폼에 필요 이상의 창의성과 데이터를 내주었다고 지적하며, 이제는 ‘스스로 플랫폼이 되어’ 이 상황을 바꿀 때라고 말합니다. 탈중앙화된 웹 3.0 경제에서 크리에이터의 소유권과 통제권, 그리고 직접 수익은 핵심 가치인데요. 비스테이지를 통해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은 세 가지 방식으로 이를 실현합니다.
- 크리에이터가 자신의 콘텐츠와 데이터를 완전히 제어할 수 있다.
- 팬과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관계를 구축하고,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수익화할 수 있다.
- 하나의 통합 플랫폼에 콘텐츠, 데이터, 팬을 모두 수용해 관리에 드는 시간과 에너지를 아낄 수 있다.
앞으로 크리에이터들은 유튜브가 45%에 달하는 광고 수익을 가지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겁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업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기대하면서, 이번 주 업계 동향을 전해드릴게요!
CREATOR INDUSTRY
Be Your Own Platform |Inc. Magazine
- bemyfriends' b.stage product provides all the connectivity, interactivity, community, commerce, and other engagement tools in a single, fully integrated, owner-built and operated platform. Any artist can take something they love making and make much more of it. This is a strong step toward rebalancing the commerce equation and returning control to the creators who can now efficiently connect to, deliver value to, and monetize their dedicated fan bases without paying a monstrous tariff to the big tech guys. The new decentralized world is a much more equitable and balanced rev share kind of economy.
Social Media Platforms Compete For Creators’ Attention. Creators Choose Them All|Forbes
- Many, especially short-form creators, though, say that it’s not yet viable to make a living from in-app monetization alone — on any platform.
These incentives, however small, are a factor in creators’ push to expand to more social media platforms because creators see them as a way to diversify their income streams. - Other creators of short-form content say that in-app monetization from creator funds, Reels Bonuses, Stars, Coins and the like are still far from a viable source of income compared to external income streams. Most short-form creators rely on brand partnerships for the bulk of their income.
Linktree’s new mobile app allows users to manage their pages on the go|TechCrunch
- Linktree announced today that it’s launching a new mobile app on iOS and Android to make it easier for users to access its service.The app allows users to navigate to the Lifetime Analytics page in the app to track sales, payments and more to better understand their audience.
- The company recently launched a new brand vision to go from being seen as just a “link in bio” tool to being a brand that encourages discovery, connection and community.
- Linktree recently also revealed a set of new features that will allow creators to showcase their NFTs and “build a community around ownership.” The company’s new “NFT Gallery” link feature allows users to showcase their NFTs on their Linktree.
IP 3.0도 온다…메타버스 시대 각광받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매경이코노미
- 콘텐츠를 만들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은 더 이상 소수 기업, 연예인, 인플루언서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특히 NFT와 메타버스 등장으로 디지털 세계에서 자신만의 하나뿐인 아이템을 만들고, 이를 거래하는 생태계가 조성됐다. 게임업계의 P2E(Play 2 Earn), 콘텐츠업계의 C2E(Create 2 Earn) 모델이 이런 경우다.
- 한 콘텐츠업계 관계자는 “NFT, 메타버스 등장으로 콘텐츠 공급에도 ‘탈중앙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지금은 이를 각각의 산업에 어떻게 적용할지 고민하는 시점”이라면서 “특정 기업보다 나 자신, 개개인이 중심이 되는 탈중앙화는 거스를 수 없는 변화의 핵심이다. ‘나만의 IP’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텀블벅, 아티스트 정기 후원서비스 ‘스테디오’ 출시|헤럴드경제
-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운영하는 텀블벅(대표 김동환)이 아티스트와 크리에이터를 위한 월간 멤버십 후원 서비스 '스테디오'를 출시한다고 11일 밝혔다.
- 김동환 텀블벅 대표는 “기존에는 새로운 창작물을 제작하는 이들과 고객들을 연결했다면 스테디오는 크리에이터와 이들의 창작을 응원하는 팬들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플랫폼”이라며 “크리에이터가 조회수나 알고리즘에 의존할 수밖에 없던 수익 구조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받고, 창작 활동에 놀라운 변화를 만들어낼 것”이라 말했다.
마플코퍼레이션, 크리에이터 전용 커뮤니티 ‘CCC’ 오픈|매일경제
- 마플코퍼레이션은 크리에이터를 위한 신개념 커뮤니티 ‘CCC(크리에이터 커뮤니티 클럽, Creators Community Club)’를 11일 오픈했다. CCC는 예술, 음악, NFT(대체불가능토큰), 웹 3.0, 가상현실 등 모든 영역의 창작자들이 함께 교류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다.
- CCC는 크리에이터들의 활발한 소통과 네트워킹을 지원하고 창작 활동에 영감을 주는 장(場)을 마련하고자 기획됐다. 마플코퍼레이션은 크리에이터 커머스 플랫폼 ‘마플샵’과 올인원 NFT 제작 툴 ‘옴뉴움’에 이어 이번 ‘CCC’를 오픈하며 창작자 주도형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생태계를 완성해 나간다는 목표다.
K엔터·팬덤·커머스…혹한기 수백억 투자받은 스타트업들|이코노미조선
- 가장 눈에 띄는 회사는 비마이프렌즈다. 하이브의 팬덤 플랫폼 위버스를 개발한 핵심 멤버들이 만든 비마이프렌즈는 지난 5월 CJ로부터 전략적 투자(224억원)를 유치했다. 시리즈 A 단계에서만 300억원이 넘는 자금을 확보했다. 캐나다 기업 중 시가 총액 1위를 기록한 전자상거래 구축 플랫폼 쇼피파이(Shopify)처럼 비마이프렌즈도 크리에이터(creator·창작자)라면 누구나 자신만의 팬덤 플랫폼을 개설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콘텐츠 게시·판매부터 멤버십 관리 및 후원, 커뮤니티 기능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것이 회사의 목표다.
NFT & Web 3.0
비마이프렌즈, 팬토와 손잡고 소셜 토큰 인프라 확장|디지털 데일리
- 크리에이터를 위한 비스포크 플랫폼 빌더 ‘비스테이지’를 제공하는 비마이프렌즈가 소셜 토큰 플랫폼 팬토와 손잡고 웹(Web) 3.0 내 ‘크리에이터 소유권’ 시너지를 확대한다.
- 앞으로 비스테이지를 이용하는 크리에이터나 비스테이지 오너들은 비스테이지 플랫폼에 팬토 소셜 토큰 기능을 연동해 ▲토큰 발행 ▲멤버십 인증·이용 ▲지갑 ▲로그인 ▲커머스 내 제품 구매까지 가능하도록 모듈화 할 수 있게 된다.
라인, NFT 사업 IP 확보 나서…CJ ENM 등과 130억 투자|지디넷코리아
- 라인 넥스트(대표 고영수)가 글로벌 대체불가토큰(NFT) 생태계 구축을 위해 총 10개사와 1천만 달러(약 130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 이번 투자를 통해 라인 넥스트는 다양한 IP를 보유한 콘텐츠, 유통, 게임, 엔터테인먼트 기업과 NFT 콘텐츠 사업 및 마케팅 연계 등에 전략적으로 협력한다. 대중에 친근한 NFT를 선보여 NFT 플랫폼을 활성화하고, IP를 보유한 투자사는 NFT 제작을 통해 콘텐츠의 글로벌 유통을 촉진해 보다 넓은 소비자층을 형성하겠다는 계획이다.
- 먼저 라인 넥스트는 네이버 나우, CJ ENM과 IP 독점 계약을 맺고, 다이아TV와 스트릿 맨 파이터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분야 IP 기반의 NFT 프로젝트를 선보여 콘텐츠를 다양화할 계획이다. 개발된 NFT는 출시 예정인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의 각 브랜드 스토어에서 거래할 수 있다.
'크립토 윈터' 속 NFT로 눈 돌리는 빅테크...왜? |블록포스트
- 가상자산 시장이 극심한 침체에 빠진 이른바 '크립토 윈터'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가상자산 사업을 하고 있는 주요 기업들이 대체불가능한토큰(Non-Fungible Tokens, NFT)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 NFT는 이미지 기반으로 소셜미디어(SNS)의 프로필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지만 메타버스 세상에서 쓸 수 있는 아이템이 될 수도 있다. 메타버스 시장의 성장에 따라 NFT 시장이 더욱 커질 것이란 기대가 나오는 이유다. 이에 따라 국내 내로라 하는 빅테크 기업들도 최근 NFT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NFTs Are In Their First Crypto Winter - Here’s What Investors Can Expect Next|Forbes
- Although NFTs held out longer than mainstream crypto assets earlier this year, market participation has fallen dramatically and even blue chip assets and collections such as the Bored Ape Yacht Club have seen their prices crash. Although perhaps inevitable, some investors hoped or believed that NFTs might fare better given a few reasons.
- They represent a different segment of the market comprising committed community members that often attach sentimental value to the NFTs they hold. Much of what confers value to NFTs is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ability for NFT owners to engage with other holders within the collection.
- Although NFTs are sometimes dismissed as easily-replicable digital images, they convey a sense of community and belonging that harkens back to the early days of bitcoin. Additionally, relative illiquidity and the social pressure of supporting a community by tethering a member’s online identity to her NFT portfolio may contribute to a mentality of longer term holding.
Garry Trudeau dives into NFTs, selling ‘Doonesbury’ strips in an auction |The Washington Post
- “Doonesbury” creator Garry Trudeau will offer his first NFT comic strips and character art for sale through the Heritage Auctions house, with all proceeds going to charity.
- Rick Akers, comics buyer and consignment director at Dallas-based Heritage Auctions, says that “with the advent and acceptance of NFT digital art, we are seeing established artists in the comic and illustration art ready to reach a new market with their creations.” Trudeau is Heritage’s first NFT comic-art auction, with more planned later this year.
- The potential for artist royalties did catch his eye. Unlike the typical reselling of physical art, the secondary market for NFTs often delivers creator royalties on all subsequent sales.
이번주 뉴스 큐레이션이 좋으셨다면, 함께 읽고 싶은 분에게 링크를 공유해주세요.
비마이프렌즈와 비스테이지의 소식은 아래 채널에서도 만나실 수 있어요!
b.stage for cre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