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구독자가 더 높은 수익을 보장한다는 환상
7월 4주차 뉴스 큐레이션
The Creator Economy |7.22~7.28
매주 금요일,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와 팬덤 비즈니스 업계 동향을 전합니다.

안녕하세요! 한 주 동안 잘 지내셨나요? 오늘은 Forbes와 The Information의 기사로 이야기를 시작해볼까 합니다.
소셜 블레이드의 데이터에 따르면 틱톡에는 39,000개 이상의 계정이 최소 10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해요. 이는 유튜브보다 약 6,200명, 인스타그램보다 약 16,000명이나 더 많은 수치입니다.
그런데 2021년 미국 크리에이터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보니 크리에이터들은 틱톡에서 월평균 약 1,674달러, 유튜브에서는 4,118달러, 인스타그램에서는 3,853달러의 수익을 냈습니다.
여기서 의문이 생깁니다. 일반적으로 ‘구독자 수’는 크리에이터의 성공과 수익을 뜻하는 핵심 지표로 여겨져 왔습니다. 그런데 더 많은 구독자를 가진 틱톡 크리에이터들이 더 낮은 수익을 내고 있다니. 무언가 잘못된 게 아닐까요?
틱톡은 사실 소셜 플랫폼이 아니라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에 가깝습니다. 알고리즘에 의해 끝없이 제공되는 콘텐츠가 중심이 되고, 주체인 크리에이터가 오히려 부산물처럼 기능하죠. 그렇기에 크리에이터와 팬이 긴밀한 관계를 쌓아갈 기회가 현저히 적습니다. 2021년 여름 기준, 틱톡 크리에이터의 동영상 조회수 중 평균 14%만이 구독자로부터 발생한 것이 단적인 예지요.
하지만 틱톡은 여전히 승승장구하는 중입니다. 플랫폼은 크리에이터와 이들의 콘텐츠를 이용해 트래픽을 만들어내지만, 크리에이터들은 그에 상응하는 수익도 올리지 못하고, 팬덤을 키울 수도 없죠.
두 기사는 이제는 ‘구독자 수’가 수익의 열쇠가 아님을 지적합니다. 100만 명의 팔로워를 가진 크리에이터라도 그들이 비즈니스 면에서 성공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100만 명이 팔로워보다 1,000명의 진정한 팬이 크리에이터에게 유의미한 성장과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으니까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시장이 성장하면서 크리에이터의 특정 플랫폼 의존도는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광고 수익에 의존하기보다 자신만의 플랫폼에서 콘텐츠를 발행하고, 팬 커뮤니티를 키우고, 팬들에게 후원을 받거나 NFT와 소셜 토큰을 활용해 직접 수익을 창출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어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크리에이터, 팬덤, 그리고 이들을 돕는 기술과 함께 현재 진행형으로 성장 중입니다. 크리에이터가 창작의 가치를 수익으로 보장받고 팬들과 함께 의미 있는 콘텐츠를 만드는 미래를 그려보며, 이번 주 업계 동향을 전해드릴게요. 좋은 주말 되시길 바라요!
CREATOR INDUSTRY
The Creator Economy Is Finally Maturing, And That Could Mean Better Pay|Forbes
- As the market matures, the route to financial stability for creators is shifting. The practice of strictly growing followers in hopes of attracting corporate partnerships may not prove to be viable in the long run. Creators who do sacrifice authenticity for numbers risk alienating their true fans who are proving to be their most valuable asset.
- Perhaps the greatest shift in the economy, however, lies in creators looking to their fans to generate income. Successful creators are starting to realize their earning potential no longer hinges on connecting brands with their audiences—technology is enabling them to earn money from their audiences directly. Rather than pandering to platform algorithms to stay relevant and facing high rates of burnout in the process, creators can now monetize the communities they nurture and grow.
The Million-Follower Factory: TikTok Is Making Everyone Famous—But Few Creators Are Cashing In|The Information
- As the platform’s creators have learned, the app’s main feed doesn’t require a user to be following anyone to see a never-ending stream of videos. While TikTok offers a tab called Following, the default is the For You Page. That setup makes it harder for creators to form strong connections with fans. As of last summer, only 14% of creators’ video views on average came from their followers, according to a source familiar with TikTok’s For You Page.
- TikTok is “under the philosophy that everybody gets their 15 seconds of fame,” said Justin Wood, a 35-year-old former circus performer who runs the account of his internet-famous duck, Wrinkle. He says Wrinkle’s 611,000 Instagram followers are worth more than her 4.2 million followers on TikTok. That’s because on TikTok “it’s easy to gain” followers, Wood said, but it can be much harder to monetize them.
Microinfluencers power the influencer economy|QUARTZ
- At the 11th Mom 2.0 Summit, a conference for mom bloggers and influencers held in Austin, Texas, the mantra repeated at many of the educational sessions was that “it’s not about reach as much anymore, it’s all about engagement.” This means that brands are finding more value in how followers interact with influencers and how loyal their audience is—measured in likes, comments, and shares—than in how many people view the content. (Engagement measures the rate of interactions compared to the size of the audience.)
- This is where smaller influencers can really shine. There are still plenty of celebrity influencers making plenty of money for brands. They help, for example, with a big PR splash, and they will always get more eyeballs on a product. But microinfluencers’ followers might trust them more than they would a celebrity removed by many degrees of fame. Influencer recommendations are meant to be akin to those of a friend—and it’s easier to imagine someone who has several thousand fans as your buddy than it is someone with the celebrity power of a rock star. The creators embrace this. “I’m your virtual best friend,” said one influencer at the conference, as she gave me her elevator pitch.
For creators, community is the new follower count|The Washington Post
- Influencers are setting up groups on chat apps, like Geneva, Discord and Telegram, which they say offer a more intimate, community-oriented experience than traditional social networks.
- Justin Hauser, Geneva’s founder, argues that Geneva users don’t bond over a piece of content, or a particular content creator; they bond over conversation and shared interests. And because home creators don’t drive the conversation — they simply provide a place for people to connect — users are on an equal footing.
- Community can also be profitable. Ushering fans into intimate spaces deepens their bonds to each other, and, ultimately, the influencer who created the community. Some brands are already setting up shop on Geneva. Nadya Okamoto, co-founder of August, a period-care brand, helps oversee a 3,000-person community she says has been essential to her company’s success. “There’s a difference between an audience and a community,” she said. “An audience is where one person has a microphone and you’re speaking to a bunch of viewers; a community is when everyone has a mic and we’re all talking to each other.
FANDOM BUSINESS
'민희진 걸그룹' 뉴진스, 전용 소통앱 '포닝' 론칭…위버스 기반 팬커뮤 서비스|전자신문
- 어도어(ADOR, All Doors One Room의 약자) 측은 최근 뉴진스 전용 팬소통앱 ‘포닝’(Phoning)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포닝은 뉴진스와 팬들이 하나의 폰을 공유한다는 콘셉트로 어도어와 위버스(Weverse)가 협력개발한 소통 애플리케이션이다.
- 이 앱은 영상통화 디자인의 실시간 라이브와 채팅, 다양한 사진과 영상을 공유하는 사진첩, 팀 또는 개별멤버들의 일정을 표시하는 캘린더 등 세부기능을 통해 함께 성장하는 느낌을 공유하고, 더 나아가 아티스트와 팬의 관계를 뛰어넘는 친구, 크루(Crew) 같은 사이로 서로를 느끼게 하는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 CEO도 놀랐다…카톡사용량 40%가 ‘오픈채팅’ |매일경제
- 지인끼리 소통하는 메신저인 카카오톡이 관심사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26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톡 전체 대화량에서 지인이 아닌 관심사 기반 채팅 방식인 오픈채팅 비중은 최대 40%에 달한다. 이는 10% 수준이던 2018년과 비교해 괄목할 만한 변화다.
- 세대별 인기 주제를 보면 10대는 게임·팬덤, 20대는 학교·취업·뷰티·패션, 30대는 결혼·투자 등이었다. 특히 1020세대 사이에선 '고독한 에스파' '고독한 BTS' '고독한 손석구' 등 인물 관련 사진을 주로 올리는 이른바 '고독방'이 인기가 높다. 연예인이 오픈채팅방에서 팬들과 어울리는 깜짝 이벤트도 자주 열리고 있다.
- 카카오는 오픈채팅 활성화와 오픈링크 출시를 위한 개발자·기획자 등 전문인력을 대대적으로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플랫폼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이르면 연말 오픈채팅을 카카오톡에서 떼어내 별도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출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 메신저 플랫폼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광고 수익화를 시도하려면 카카오톡에서 독립하는 게 유리하다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비마이프렌즈, 빅히트·CJ ENM 출신 하세정 씨 CIPO로 영입|매거진한경
- 비마이프렌즈가 하세정 전 비알코리아 브랜드 전략실장을 CIPO(Chief of IP Officer, 최고지식재산책임자)로 영입했다. 하세정 CIPO는 비마이프렌즈에 합류해 크리에이터들의 콘텐츠 IP 비즈니스를 전문적으로 지원하고, 비마이프렌즈의 사업 확장 및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전체 발전에 기여할 예정이다.
- 하세정 CIPO는 비마이프렌즈에서 비스포크 플랫폼 빌더 ‘비스테이지’를 사용하는 크리에이터·브랜드들이 자신만의 IP 비즈니스 기회를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전문 컨설팅, 사업 지원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특히 웹3.0 기반의 IP 비즈니스를 통해 비스테이지에서 크리에이터 커뮤니티를 더욱 견고하게 강화하고, 팬덤 비즈니스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시장 확대에 나선다.
NFT & Web 3.0
Will Web3 Provide a Promising Future for Content Creators?|Investing.com
- The future of the creator economy is Web3. The principles of the creator economy such as ownership of work, decentralization, and flexibility also came into being at the same time as Web3.
- The first generation of the Web3 creator economy is creator-owned content. The organization that runs modern social media platforms owns the content that creators produce. However, in the upcoming years, the creators might own and control the platforms they use.
- Without the current reliance on centralized third-party organizations, Web3 will make it possible for people to earn a living by creating work that they directly own. Through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DAO), it might be able to accomplish these advantages.
The Future of NFT: 3 Predictions|The European Business Review
- Despite the talk of NFTs being “useless” and overpriced, the technology has found its way into several business niches, especially the creator’s economy.
As an investor, I’ve backed the leader of the creator economy – Patreon. The company is a platform that connects creators with fans and allows fans to give financial support in exchange for content and exclusive rewards. Right now, Patreon is worth more than $4 billion. - The NFT market can perform a similar function but on a grander, more decentralized scale. In 2022, there will be a great revolution in the creator industry, thanks to NFT technology. The rules of creating have changed, and this new era allows creators to own their content and communities. It also gives them more power over their assets, which translates to even greater independence.
- So, how will this change the market? Here are my predictions.
Creators will have more freedom: One of the significant points of interest for NFTs and cryptocurrencies is the idea of decentralized ownership. It also means that creators will be able to build a community based solely on their values rather than conforming to the values of a brand, country or platform. Finally, the fact that creators can earn money based on every NFT transaction means that they will be fully independent, rather than depending on third parties that take a cut of the proceeds.
NFTs will power a diverse metaverse that will reach into the real world.
The NFT industry will see a substantial influx of private investors and creators.
- 이종석 컴투스플랫폼 NFTBiz 본부 NFT사업1실장은 'NFT와 메타버스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이라는 주제로 열린 '2022년 더벨 블록체인 포럼'에서 ‘웹3.0 패러다임의 시작’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 웹 3.0은 권력을 다시 유저들에게 분산시키는 탈중앙화 모델이다. 블록체인 기술로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NFT를 통해서 개개인들이 디지털 자산을 직접 소유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 실장은 “프로토콜 경제라고도 부르는 웹 3.0은 지금까지 플랫폼에 집중돼 있었던 권력을 크리에이터 중심으로 재편하는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 이 실장은 NFT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방안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제시했다. 1) 흥행력이 있는 지식재산권(IP) 확보, 2) NFT와 커뮤니티 기능 연계로 VIP 멤버십처럼 기능하게 하는 방법, 온라인과 오프라인, 3) 메타버스에서까지 사용처를 추가하는 방법
이번주 뉴스 큐레이션이 좋으셨다면, 함께 읽고 싶은 분에게 링크를 공유해주세요.
비마이프렌즈와 비스테이지의 소식은 아래 채널에서도 만나실 수 있어요!
b.stage for cre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