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덤 키우는 브랜드, 크리에이터와 일하는 방식도 달라진다
9월 3주차 뉴스 큐레이션
The Creator Economy |9.8~9.15
매주 금요일,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와 팬덤 비즈니스 업계 동향을 전합니다.
유튜브에서 화제가 된 ’멍 때리기’ 영상 보신 분 있나요? ASMR 유튜버가 만들었을 법한 이 영상은 침대 브랜드 시몬스에서 제작한 ‘오들리 새티스파잉 비디오(Oddly Satisfying Video·OSV)’ 입니다. 시몬스는 2018년부터 ‘침대 없는 광고’로 화제를 모았는데요. 올해 2월 선보인 이 비디오는 공개 한 달도 채 안 돼 조회수 2,000만을 달성했습니다. 볼수록 무의식적인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이름처럼 ‘이상하게 만족스러운’ 디지털 아트 영상입니다.
게다가 SNS 인증샷 성지로 소문난 청담동 ‘시몬스 그로스리 스토어’ 역시 침대 대신 굿즈 스토어, 버거숍, 디지털 아트 전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침대나 수면과는 크게 관련 없어 보이는 프로젝트에 대해 김성준 시몬스 브랜드전략부문 부사장은 이렇게 말합니다.
“지금 당장 침대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평소에 쌓인 시몬스에 대한 호감이 나중에 시몬스 제품 구매로 이어지도록 하는 게 팬덤 마케팅의 핵심이다.”
브랜드가 팬덤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마케팅 전략뿐만 아니라 크리에이터와 일하는 방식도 변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광고나 외주를 주는 방식이 아닌 ‘콜라보레이션’ 형태로 진화하고 있죠.
시몬스는 이번 주부터 OSV와 협업한 크리에이터의 디지털 아트를 NFT로 선보일 예정입니다. MZ 세대에게 유명한 아티스트인 부원, 메이킴, 차인철이 참여하죠. NFT 홀더에게는 아티스토크와 Q&A 세션에 참여할 기회를 주거나 디지털 아트워크 실물 포스터를 선물하는 등 다양한 혜택을 줍니다. 크리에이터와 브랜드가 서로에게 시너지를 얻으며 성장하는 일이 브랜드 마케팅의 새로운 과제가 된 듯합니다.
크리에이터와 브랜드, 팬덤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길 바라며, 이번 주 뉴스레터 전해드릴게요!
NFT & Web 3.0
팬덤 키우는 시몬스 침대…힙한 예술가와 NFT 발행|한국경제
- 시몬스는 부원, 메이킴, 차인철 등 영 크리에이티브 아티스트 3인과 함께 2022 브랜드 캠페인 ‘오들리 새티스파잉 비디오(Oddly Satisfying Video·OSV)’ 디지털 아트를 NFT로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색적인 팬덤 마케팅을 통해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관심을 끄는 전략 중 하나라는 분석이다.
- 김성준 시몬스 브랜드전략부문 부사장은 “지금 당장 침대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평소에 쌓인 시몬스에 대한 호감이 나중에 시몬스 제품 구매로 이어지도록 하는 게 팬덤 마케팅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탈중앙화 시대, 신산업 이끄는 ‘팬덤’의 힘|디지털데일리
- 지적재산(IP)을 활용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키우는 것도 플랫폼이 고객을 끌어들이는 수단이지만 다양한 수요에 맞춰 빠르게 속도를 키울 수 있는 건 크리에이터 생태계 조성이다. 플랫폼사들은 크리에이터 장벽을 낮추는 것 뿐 아니라 팬층을 모으기 위한 전략을 펼치고 있다.
- 비마이프렌즈는 글로벌 팬덤 비즈니스 전문 스타트업이다. 플랫폼에 종속되기보다 크리에이터 중심으로 팬덤 비즈니스를 할 수 있도록 조성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즉 크리에이터가 비즈니스 오너가 되고, 모든 데이터도 본인이 소유할 수 있다. 충성고객과 팬들과 직접적 소통과 공감을 통해 가치 극대화와 수익창출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설명이다.
- 결국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와 함께 발전하는 기술은 ‘웹3.0’이다. 웹3.0은 ‘탈중앙화’와 ‘개인 콘텐츠 소유’를 주요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인터넷이다. 이 환경에서 크리에이터와 팬들이 플랫폼을 위해 가치를 제공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이 직접 연결돼 주도권을 가져간다. 크리에이터가 자체 콘텐츠를 제공하며 정당한 수익을 가져가고, 팬들은 2차 창작물 제작이나 활발한 활동으로 보상을 받는 구조다. 크리에이터 콘텐츠 품질 향상과 강력한 팬덤 구축이 선순환 될 수 있다.
Fans And Followers: How They Differ And What It Means For Content Creators|Forbes
- The terms “fans” and “followers”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these days, but they have stark contrasts when it comes to what they are and how they interact with content. While creators are certainly looking for monetization by posting content on various platforms (as they should), what is just as important is building deeper engagement with audiences to create a powerful fan base rather than a follower base.
- While many platforms are offering increased monetization solutions, they are not always providing engagement tools that can truly help create diehard fans. Often, there is no way for creators to talk back to their audiences where the engagement starts.
- There are tactical things they can do to take control. For starters, creating their very own platform allows creators to choose their algorithm, methods of communications with fans and opportunities for monetization without having to adhere to the guidelines of existing platforms, which sometimes change often.
- Ownership of data is another way creators can get more fans. Now that the platform is owned by the creators, they can monitor fan behaviors and click through journeys, creating a more effective and powerful platform.
NFT & Web 3.0
“美 최대 음악 페스티벌 ‘코첼라’, NFT 평생 입장권도 출시…끊임없는 변신”|이코노미조선
- 코첼라는 NFT 기술을 적용해 평생 입장권을 판매하는 ‘코첼라 키 컬렉션’이라는 행사를 진행했다. 이 NFT 평생 입장권에는 공연장 앞줄 관람 권한, 세계적인 셰프의 저녁 식사 초대 등 다양한 혜택이 포함돼 있는데, 큰 인기를 끌었다. ‘코첼라 포토북’ ‘코첼라 포토 앤드 뮤직’ NFT도 성황리에 판매됐다.
NFT 투자, 손실위험 크고 실제 수익도 기대만큼 크지 않아"|연합뉴스
- 한국금융연구원의' 투자상품으로서 NFT에 대한 우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꾸준히 시장의 주목을 받아온 대체불가토큰(NFT) 투자가 높은 가격 변동성과 수수료 때문에 실제 수익이 기대만큼 높지 않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 특히, 개발자는 신규 NFT를 출시하기 전에 핵심 추종자들을 모집해 다른 투자자보다 낮은 가격으로 우선 구매할 수 있는 혜택을 주는 관행이 있어 '기울어진 운동장'이 조성돼 있다고도 분석했다. 실제로 NFT 전용 글로벌 플랫폼인 '오픈씨'(OpenSea)에 따르면 이런 혜택을 통해 NFT를 사들인 투자자들이 얻은 수익률은 75.7%로, 그렇지 않은 투자자의 수익률(20.8%)을 크게 상회했다.
- 박해식 선임연구위원은 "NFT 시장은 높은 성장 가능성과 높은 수익성에 대한 기대감이 있지만, 손실위험이 크고 특정 집단에게만 유리한 투자 기회가 주어질 뿐만 아니라 높은 수수료로 인해 실제 수익이 기대만큼 크지 않을 수 있어 신중을 기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How Web3 Is Uproo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s And Creators|Forbes
- Brands have frequently taken advantage of creators and limited the ownership rights they have over their content. But times are changing with Web3.
- As a decentralized web, Web3, provides a more direct link between creators and their fans. This means that individuals own and govern parts of the internet and consumers no longer need to access the internet through intermediary behemoths like Google and Facebook. Because creators can issue their own social tokens to build and reward their audience, they can gain control and decision-making rights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held by brands.
- With Web3’s decentralized web, creators can exert power over platforms in new ways. Creators can now sell their work directly to their fans and audience members with much more ease and autonomy. Thanks to blockchain technology, creators can sell their creations, merchandise, and other products and experiences.
Arpeggi Labs banks a16z funding to build web3 music software|TechCrunch
- The quest to define what exactly a web3 use case looks like hasn’t always been easy but has allowed plenty of founders to get creative in building out products designed to tap the ethos of decentralization and the business opportunities of the creator economy.
- Arpeggi Labs, a new crypto startup focused on using blockchains to make music creation more collaborative, has scored $5.1 million in seed funding from Andreessen Horowitz’s crypto arm alongside a host of artists including names like Steve Aoki, 3LAU and Wyclef Jean.
- The team’s goal is to tap the blockchain to build a music creation suite that bakes in an open source ethos, allowing producers to sample a wide variety of songs and sounds while the platform ensures that credit always flows back to original creators appropriately.
CREATOR ECONOMY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1000억달러 잡아라…새 경제 생태계 뛰어드는 기업들|디지털데일리
- 다양한 플랫폼들이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생태계 핵심 주체인 ‘스타 크리에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 체계를 펼치고 있다. 더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해당 플랫폼으로 유입될수록, 영향력은 커질 수밖에 없다.
- 한국콘텐츠진흥원 ‘인터넷시대 제3의 물결,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보고서에서는 “그동안 창작자들이 플랫폼에서 자신의 콘텐츠를 통해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은 제한적이었고, 실리콘밸리에서는 창작자들을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구로만 활용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 뒤 플랫폼들은 유료 구독 서비스 등 크리에이터를 지원하는 적극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시작했다”며 “크리에이터들이 업로드하는 양질의 콘텐츠가 많아질수록 플랫폼 영향력이 확대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크리에이터 모시기’ 경쟁하는 플랫폼…보상체계는?|디지털데일리
- 주요 정보기술(IT) 기업들이 ‘크리에이터 이코노미(Creator Economy, 창작자 경제)’로 뛰어들고 있다. 소셜미디어(SNS) 기업 뿐 아니라 생존을 위해 신사업을 발굴해야 하는 곳들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로 눈을 돌리고 있다. 구글 유튜브·유튜브뮤직 시장 침투에 더해 인앱결제(앱 내 결제) 리스크까지 겹친 국내 음원 플랫폼도 생존 활로를 모색하기 위한 수단으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 이와 관련 한국콘텐츠진흥원 ‘인터넷시대 제3의 물결,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보고서는 “누구나 콘텐츠를 만들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인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창작한 콘텐츠로 수익을 창출할 것이며, 올해 말까지 1042억달러 규모로의 성장을 내다본다”며 “벤처캐피탈 투자와 스타트업 론칭도 활발하게 일어나는 현재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분야”라고 덧붙였다.
A $100 Million Bet on Finding the Next ‘Mr. Beast’|The New York Times
- In recent years, traditional media companies have been left to fight over the advertising scraps left behind by tech platforms like Facebook, Google and Amazon. With Night Capital, TCG is betting that it’s pointless to invest in a new media business based purely on advertising, unless it has the chance to become a big platform, like Snapchat. Rather, investors should fund creators who can harness established platforms to sell products and market themselves.
- There is risk in building businesses on social media platforms. In the 2010s, for instance, changes to the algorithms that determine how updates appear on platforms such as Facebook and Instagram weakened a crop of media businesses.
- By giving creators equity in the businesses it buys, Night Capital aims to upend the traditional compensation model for influencers, Mr. Kerns said. Creators have historically received only a small portion of the revenue generated by their posts and videos, while the digital platforms they use to publish their content have gotten the bulk of the proceeds. But that’s changing, he said.
Meta announces Discord-like ‘Community Chats’ on Messenger|TechCrunch
- Meta CEO Mark Zuckerberg announced this morning that “Community Chats” are coming to Messenger and Facebook Groups. The feature allows large Messenger groups to organize chats into categories, including audio and video channels for real-time discussion, admin-only chats for announcements and event chats. Like Discord, Community Chats are designed to make it easier to keep track of fast-moving conversations involving many people.
Instagram is internally testing a new monetization feature for creators called ‘Gifts’|TechCrunch
- Instagram is internally testing a tipping feature that would give creators a new way to make money on the social network. The test feature is called “Gifts” and would enable creators to earn money through Reels.
- According to screenshots posted by Paluzzi, the feature would allow creators to toggle an option that will enable their fans to send them “Gifts.” Creators would also be able to check if they’re eligible for the feature under a new Gifts tab in their settings. The screenshots also suggest that users would be able to send Gifts via a button displayed at the bottom of Reels.
이번주 뉴스 큐레이션이 좋으셨다면, 함께 읽고 싶은 분에게 링크를 공유해주세요.
비마이프렌즈와 비스테이지의 소식은 아래 채널에서도 만나실 수 있어요!
b.stage for creators